매일 말씀 묵상

희망의 시작 - 하느님의 뜻을 찾는 질문의 일상화(마르 10, 1-9) - 2470

Author
신부님
Date
2022-02-23 23:15
Views
1116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2470

2022년 2월 25일 금요일

하느님의 뜻을 찾는 질문의 일상화(마르 10, 1-9)

“하느님께서 맺어 주신 것을 사람이 갈라놓아서는 안 된다.”(마르 10,9)

우리의 삶은 매 순간 순간 결단을 요구합니다.  우리가 어떻게 잘 결단을 하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매 결단의 순간마다 올바른 결단을 내릴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이 지혜는 학습에 의해서가 아니라 하느님과의 친밀함에서 흘러나오는 것입니다. 하느님의 생각이 우리의 생각으로 바뀌는 것이 바로 지혜입니다.

우리가 어떠한 판단을 하게 될 때 가장 먼저 이러한 판단을 하게되는 이유에 대해서 질문을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할 것입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질문은 바로 ‘하느님의 뜻에 합당한 가’에 대한 질문일 것입니다. 이러한 질문의 일상화는  우리에게는 참으로 중요합니다. 이러한 질문은 우리의 삶을 기도의 삶으로 바뀌게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살면서 어려운 시기를 거치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사람에 따라서 그 어려움의 종류와 질이 다를 수가 있습니다. 우리가 어려움을 겪을 때 이 어려움을 남과 비교해서 판단하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일입니다. 사람에 따라서 어떤 이에게는 객관적으로 덜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사람에게는 참으로 심한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감기는 당연히 암보다는 가벼운 병일 뿐만 아니라 고통도 덜합니다. 하지만 이를 견디는 사람에 따라서 오히려 감기에 걸린 사람이 암에 걸린 사람보다 더 고통스러워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신앙 생활을 하면서 가족들의 오해와 공동체에서의 소외 등으로 어려움에 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을 대면하게 될 때 끝까지 현명하게 이러한 어려움을 잘 견뎌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중도에 포기하고픈 유혹이 생겨도 잘 참습니다. 이렇게 끝까지 하느님 안에서 이러한 유혹을 이겨낸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하느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하느님 때문에 ‘예’라고 대답하는 것과 하느님 때문에 ‘노’라고 대답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응답의 갈림길에 서게 되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식별’이 필요합니다.  이 ‘식별’의 기준이 바로 ‘왜’라는 질문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 질문은  하느님으로부터의 지혜를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

아무도 두 주인을 섬길 수가 없습니다. 세상과 하느님을 두고서 선택하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지식이나 정보에 의한 선택은 결단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믿음에는 결단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의지적인 결단이 필요합니다. “예” 아니면 “아니오”의 결단입니다.

예수님 당시에 바리사이들은 일부 다처제를 묵인했고 이혼과 재혼을 쉽게 허락했었습니다.  신명 24, 1을 보면, “어떤 남자가 여자를 맞아들여 혼인하였는데, 그 여자에게서 추한 것이 드러나 눈에 들지 않을 경우, 이혼 증서를 써서 손에 쥐어 주고 자기 집에서 내보낼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에 근거해서 남편은 이혼장을 만들어 아내에게 건네주고, 그 순간부터 아내는 쫓겨나게 됩니다.

이혼장에 사유를 쓸 필요는 없었고, 남편 아무개가 아내 아무개를 소박하니 다른 남자가 데려가도 무방하다는 내용을 적은 다음에 남편과 두 증인이 서명하고 장소와 날짜를 기록하면 되었습니다. 이혼을 어떻게 하느냐에 관심을 가졌던 그들입니다. 그러나 오늘 예수님께서는 이혼 불가를 선언하십니다(마태 5,32). 우리에게 ‘왜’ 이혼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하시는 것입니다.

결혼은 하느님께서 맺어 주시는 사랑의 선물입니다. 하지만 이 선물을 항구하게 유지하며 살아가는 사람의 비율이 점점 줄어듭니다. 이유는 사랑에 의한 결혼보다는 조건에 의한 결혼이 더 많기 때문일 것입니다. 조건에 의한 결혼은 조건의 사라짐에 따라서 사랑도 사라질 것입니다. 최근에는 더욱 이혼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세상적인 조건이 사랑에 우선하는 결혼이 더 많아졌다는 방증일 것입니다. 인격적인 만남의 결혼이 아닌 도구적인 만남의 결혼을 말합니다.

하느님께서 맺어주신 이 사랑의 결합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보여주신 그 사랑의 전형을 따르는 사랑의 실천이 전제되어야 할 것입니다. 자신을 상대를 위해서 내어놓는 사랑입니다. 이러한 사랑은 우리의 결혼을 더욱 알차고 충만하게 만들어갈 것입니다. 순간 순간 다가오는 인간적인 유혹도 극복하게 해 줄 것입니다.

우리를 하나로 만들어 주시는 하느님과 우리를 둘로 분리시키려고 교묘하게 작용하는 사탄을 바라봅니다. 어떠한 사탄의 유혹에도 쓰러지지 않고 하느님의 생각이 나의 삶을 지배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 ‘하느님의 뜻을 찾는 질문의 일상화’는  꼭 필요한 삶의 지혜가 될 것입니다. 

Total 2,662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1982
희망의 시작 - 다시는 죄를 짓지 마라(요한 5, 1-16) - 2497
신부님 | 2022.03.27 | Votes 6 | Views 1080
신부님 2022.03.27 6 1080
1981
희망의 시작 - 새 하늘과 새 땅을 체험케하는 믿음(요한 4, 43-54) - 2496
신부님 | 2022.03.26 | Votes 5 | Views 1100
신부님 2022.03.26 5 1100
1980
희망의 시작 - 세리와 바리사이의 기도의 다른점 (루카 18, 9 - 14) - 2495
신부님 | 2022.03.24 | Votes 4 | Views 1196
신부님 2022.03.24 4 1196
1979
희망의 시작 - 주님 탄생예고 대축일에 (루카 1, 26-38) - 2494
신부님 | 2022.03.23 | Votes 4 | Views 1134
신부님 2022.03.23 4 1134
1978
희망의 시작 -‘예’ 아니면 ‘아니오’(루카11,14-23) - 2493
신부님 | 2022.03.22 | Votes 4 | Views 1174
신부님 2022.03.22 4 1174
1977
희망의 시작 - 본질을 회복하는 삶(마태 5, 17-19) - 2492
신부님 | 2022.03.21 | Votes 3 | Views 1213
신부님 2022.03.21 3 1213
1976
희망의 시작 - 하느님의 심판의 기준(마태 18,21-35) - 2491
신부님 | 2022.03.20 | Votes 4 | Views 1075
신부님 2022.03.20 4 1075
1975
희망의 시작 - 단순함과 당연함 속에서 발견하는 하느님의 지혜(루카 4, 24- 30) - 2490
신부님 | 2022.03.19 | Votes 3 | Views 1121
신부님 2022.03.19 3 1121
1974
희망의 시작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마태 1,16.18-21.24) - 2489
신부님 | 2022.03.17 | Votes 4 | Views 1044
신부님 2022.03.17 4 1044
1973
희망의 시작 - 우리의 눈에 놀랍기만 한 주님의 힘(마태 21, 33-46) - 2488
신부님 | 2022.03.16 | Votes 5 | Views 1164
신부님 2022.03.16 5 1164

Enquire now

Give us a call or fill in the form below and we will contact you. We endeavor to answer all inquiries within 24 hours on business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