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시작 -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마태 9, 35 - 10,1. 6-8) - 3395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3395
2024년 12월 7일 토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마태 9, 35 - 10,1. 6-8)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 38 그러니 수확할 밭의 주인님께 일꾼들을 보내 주십사고 청하여라.”(마태 9, 37)
오늘은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입니다. 성 암브로시오(340년경~397년)는 밀라노의 주교이자 교회의 위대한 교부로, 탁월한 신학자이자 성경 주해가였습니다. 성인께서는 교회를 위협하던 이단들과 맞서 정통 신앙을 수호했으며, 아우구스티노 성인이 회심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영성은 특히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 그리스도 안에서의 희망, 그리고 교회의 일치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성인께서는 교회와 신자들을 인도하는 목자였으며, 자신의 가르침과 삶을 통해 하느님의 사랑과 은총이 모든 이들에게 열려 있음을 증거했습니다. 그의 말과 행동은 하느님께서 항상 우리와 함께하시며, 우리가 그분을 신뢰할 때 올바른 길로 인도하신다는 믿음에 바탕을 두고 있었습니다.
오늘 성인의 축일을 맞으시는 여러분 모두에게 축하의 인사를 드립니다.
국민을 살리는 정치를 기대했던 지금 대한민국의 정치현실은 그 기대와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슴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얼마만큼의 실망과 좌절의 늪으로 빠져야 새로운 정치에 대한 기대가 실현될지 참으로 암울한 시기를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기이기에 금년의 대림은 우리에게 더욱더 의미있는 시기가 될 것이라는 희망을 갖게 됩니다.
참으로 어려운 시기를 살고 있습니다. 밝음보다는 어둠이 희망보다는 절망이 선보다는 악이 세상을 지배하는 것처럼 보이시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하느님을 믿고 따르는 우리에게는 이러한 힘들고 어려운 시기에, 우리 모두를 힘들게 하는 이 모든 어둠의 요소들이 하느님 안에서 우리를 더 나은 존재로 나아가게 하는 축복의 요소들이 될 것이라는 확신을 갖습니다.
출구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동굴도 하느님께서는 출구가 존재하는 터널로 만들어 주신다는 것을 잊지 않도록 초대하십니다.
’도둑이 제 발 저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창세기에 나오는 야곱의 모습이 이런 모습입니다. 형인 에사우의 위협을 피해서 라반의 집으로 도피한 야곱은 20년 간을 지냅니다. 이 기간 동안 형에게 했던 자신의 행동을 장인을 통해서 되돌려 받습니다. 부메랑이 되어서 자신의 행동에 어쩌면 이자까지 붙여서 받게 됩니다.
사랑으로 라헬을 아내로 맞습니다. 이 아내를 얻기 위해서 다윗은 7년 간의 세월을 수 일 처럼 느껴질만큼 열심히 일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이 7년 간이 70년 처럼 아니 그 이상으로 느껴져야 함에도 야곱에게는 이 기간이 수 일처럼 느껴졌다고 합니다. 이 7년 간이 라헬을 아내로 얻기에는 너무나 가벼운 댓가였슴을 이렇게 표현 하는 것으로 알 수가 있습니다.
라반의 집을 떠나 이제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갑니다. 하지만 그에게는 큰 숙제가 있습니다. 형님 에사우와의 만남입니다. 화해를 하고 싶지만 형이 어떠한 태도를 지닐까에 대한 두려움을 가집니다. 믿음이 부족합니다.
형의 눈치를 보기 위해서 종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보내고 마지막에는 자신의 가족들을 보냅니다. 그리고 혼자 남아서 밤을 새우는데 어떤 사람이 그에게 나타납니다. 동이 틀때까지 그와 씨름을 합니다. 하느님과 씨름을 한 야곱은 비록 엉덩이 뼈를 다쳤으나 하느님께 축복을 청하면서 동이 틀 때까지 하느님을 놓질 않습니다. 하느님의 축복을 청하는 야곱의 집요한 모습을 봅니다. 야곱의 집요함에 하느님 마저도 뿌리치시지 못하십니다. 여기서 한 가지 깨닫습니다.
구원은 우리의 노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하느님의 뜻에 의한 것이라면, 하느님의 축복은 우리의 노력에 의해서 얼마든지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느님의 축복의 통로가 되는 삶을 살아가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 봅니다.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삶의 본질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나를 통해서 나의이웃이 하느님의 축복을 체험할 수 있다면 이것이 바로 가장 효과적인 선교일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통해서 이웃이 당신을 발견하는 삶을 살라고 초대하십니다. 바로 축복의 통로가 되는 삶입니다.
오늘 하루를 시작하면서 예수님의 따뜻한 마음을 느낍니다. 가르침과 하늘나라의 복음선포 그리고 병자와 허약한 사람들을 치유하시면서 쉴 틈 없이 바쁘게 돌아다니시는 예수님이십니다. 돈을 벌기위해서도 아니고 권력과 명예를 얻기 위해서도 아닙니다. 오로지 인간에 대한 사랑때문입니다. 사랑의 힘만큼 큰 힘도 없을 것입니다. 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사랑이 아닌 조건 없는 사랑입니다.
주변을 둘러봅니다. 힘들고 어렵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참으로 많습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 불평과 불만으로 자포 자기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그래도 희망을 잃지 않고 최선을 다하며 살아가는 사람들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의 시기도 하느님께서 허락하시는 축복의 순간이라고 여기며 어려운 시기를 감사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 생각해 봅니다.
하느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믿기에 내가 하느님을 떠나지 않으면 하느님께서는 절대로 나를 혼자 내버려 두지 않으신다는 확신을 갖고 살아갑니다. 비록 지금 고통과 시련의 시간을 지내고 있다 하더라도 이 고통과 시련이 통로가 막힌 동굴로 들어가는 것이 아닌 출구가 있는 터널을 지나고 있다는 것을 믿습니다. 따라서 시간이 가면 갈수록 터널의 출구가 가까워지고 있다는 희망과 믿음을 갖는 것입니다. 희망이 있다는 것과 믿음이 있다는 것은 인간 만이 가질 수 있는 하느님의 인간에 대한 사랑의 선물인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고 말씀하시면서 일꾼을 보내 달라고 하느님께 청하라고 하십니다. 예수님 당시에 많은 사람들이 목자없는 양들처럼 시달리며 기가 꺾여 있었다고 합니다. 목자는 양들의 보호자입니다. 이들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해결해 주는 존재입니다. 양들은 목자를 신뢰하며 따라다닙니다. 따라서 목자 없는 양이란 엄마가 없는 갓 태어난 아이와 같을 것입니다. 엄마와 함께하는 아이는 두려움이 없습니다. 엄마의 품 안에서 젖을 빨고 있는 어린아이의 모습은 참으로 행복하게 보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주변에는 엄마없이 불안과 두려움 속에서 생활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슴을 압니다.
그리스도인은 바로 길을 잃고 헤메는 양들에게 목자가 되어주고 갓 태어난 아이들에게 엄마가 되어주는 삶을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빛이 되어주고 소금이 되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힘들고 지치고 지혜가 필요할 때 하느님으로 부터 힘과 지혜를 얻는 사람들입니다. 하느님을 전하는 사람들이 그리스도인입니다. 따라서 우리 그리스도인은 도움이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참 이웃이 되어주는 사람입니다. 세상을 살면서도 세상 안에서 하늘나라를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세상과 구별되는 거룩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우리는 주님의 사랑에 힘입어 우리를 하느님의 사랑으로부터 떼어 놓을려는 어떠한 유혹이나 협박이나 폭력으로부터도 이겨낼 수가 있는 힘을 갖고 있슴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그래서 바오로 사도는 “우리는 우리를 사랑해 주신 분의 도움에 힘입어 이 모든 것을 이겨 내고도 남습니다.”(로마 8, 37) 하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우리의 삶을 통해서 바오로 사도의 이 말씀이 힘들고 어렵게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세상적인 것에 자신의 행복을 의존하고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사랑에 힘입는 삶이 얼마나 우리에게 큰 행복이고 힘이 되는가를 깨닫게 되었으면 합니다.
대림시기를 지내면 먼저 하느님의 나라와 하느님의 의로움을 찾는 삶을 살고자 합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증거하는 시기가 되었으면합니다. 추수할 것은 많은데 일꾼이 적은 이 세상에서 수확하는 일꾼이 되는 거룩한 하루 지내시도록 기도합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오늘 축일을 맞으시는 여러분 모두에게 축하를 드립니다.
Number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2862 |
New 희망의 시작 - 법의 절대적인 기준은 사랑이다(마르 3, 1-6) - 3433
신부님
|
2025.01.20
|
Votes 1
|
Views 93
|
신부님 | 2025.01.20 | 1 | 93 |
2861 |
New 희망의 시작 - 성녀 아그네스 기념일에(마르 2,23-28) - 3432
신부님
|
2025.01.18
|
Votes 3
|
Views 313
|
신부님 | 2025.01.18 | 3 | 313 |
2860 |
New 희망의 시작 - 새로운 리더쉽을 기대하면서(마르 2, 18-22) - 3431
신부님
|
2025.01.18
|
Votes 3
|
Views 403
|
신부님 | 2025.01.18 | 3 | 403 |
2859 |
New 희망의 시작 - 연대와 배려의 삶(마르 2, 13 - 17) - 3430
신부님
|
2025.01.16
|
Votes 5
|
Views 778
|
신부님 | 2025.01.16 | 5 | 778 |
2858 |
희망의 시작 - 성 안토니오 아빠스 기념일(마르 2,1-12) - 3429
신부님
|
2025.01.15
|
Votes 4
|
Views 673
|
신부님 | 2025.01.15 | 4 | 673 |
2857 |
희망의 시작 - 마음을 부드럽게 하고 하느님께 귀 기울이는 삶(마르 1, 40-45) - 3428
신부님
|
2025.01.14
|
Votes 5
|
Views 808
|
신부님 | 2025.01.14 | 5 | 808 |
2856 |
희망의 시작 - 하느님의 축복의 통로가 되는 삶 (마르 1, 29-39) - 3427
신부님
|
2025.01.13
|
Votes 4
|
Views 615
|
신부님 | 2025.01.13 | 4 | 615 |
2855 |
희망의 시작 - 새롭고 권위있는 가르침 (마르 1, 21-28) - 3426
신부님
|
2025.01.12
|
Votes 6
|
Views 692
|
신부님 | 2025.01.12 | 6 | 692 |
2854 |
희망의 시작 -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믿음과 선택(마르 1, 14-20) - 3425
신부님
|
2025.01.11
|
Votes 6
|
Views 880
|
신부님 | 2025.01.11 | 6 | 880 |
2853 |
희망의 시작 - 참 겸손의 전형(요한복음 3,22-30) - 3424
신부님
|
2025.01.09
|
Votes 5
|
Views 816
|
신부님 | 2025.01.09 | 5 | 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