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말씀 묵상

희망의 시작 - 안식일 논쟁의 핵심(루카 14,1-6) - 3045

Author
신부님
Date
2023-11-01 19:01
Views
810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3045

2023 11 3 금요일

자신을 부정하고 자신의 십자가를 지는 삶(루카 14,1-6)

안식일에 병을 고쳐 주는 것이 합당하냐, 합당하지 않으냐?” (루카 14, 3)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 때문에 추세를 거스르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다들 그렇게 해하면서 잘못된 길에 동참하도록 초대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다들 그렇게 하니까 죄의식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아니야하고 대답하는 것이 참으로 어렵습니다. 용기가 필요합니다. 하느님과 함께하지 않으면 견디기 힘듭니다. 믿음이 필요합니다

그리스도인이 된다고 하는 것은  자신이 여태껏 살아오면서 형성해 왔던 고정관념에서 해방되어야 합니다.  일반 상식과 배치되는 삶을 살아야 하기 때문에 다수로 부터 배척 당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어느 안식일에 바리사이들의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의 집에서 음식을 드십니다. 당시의 통념으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행동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우리는 당시의 모든 바리사이들이 다 예수님을 미워하거나 싫어했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사실은 모두가 예수님을 미워하거나 싫어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들 중에도 대부분의 바리사이들이 예수님을 미워하고 반대함에도 불구하고    ‘아니오라고 대답하는 바리사이들이 있었슴을 알게 됩니다.

우연의 일치인지 모르지만 그 자리에 수종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이 병은 근육에 물이차서 그 물을 빼내야 하는 병입니다. 그런데 당시의 랍비들은 이 벙은 부도덕한 생활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이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예수님의 앞 자리에 앉아 있는 것은 우연일 수도 있지만 이 일이 있기 전 후의 사정을 고려해 보면 바리사이들이 예수님을 고발할 구실을 찾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데려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 보실 수 있는 바로 예수님 앞 자리에 그를 자리하게 했을 것입니다

지금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들은 13 14절에서처럼 이 안식 일에 병을 고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삼으려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예수님도 그들의 속마 음을 알고 계셨습니다. 그래서 그들에게 먼저 질문을 하십니다.

6 9절에서 예수님께서  “내가 너희에게 묻겠다. 안식일에 좋은 일을 하는 것이 합당하냐? 남을 해치는 일을 하는 것이 합당하냐? 목숨을 구하는 것이 합당하냐? 죽이는 것이 합당하냐?” 하고 물으시는 것과 같이 "안식일에 병을 고쳐 주는 것이 합당하냐, 합당하지 않으냐?”(루카 14, 3) 하고 물으시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질문은 바로 율법 에 맞느냐, 어긋나느냐? 라는 질문과 같은 것입니다

이들은 대답을 하지 못하고 잠자코 있습니다. 6 9절에서의 질문에도 반박하지 못했던 이들이 지금의 질문에도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이들의 침묵에 예수님께서는 자신의 병을 고쳐달라고 청하지도 않은 이 병자의 병을 고쳐주십니다

이렇게 수종 병 환자를 고쳐서 돌려 보내시고 난 뒤에 예수님께서는 안식일에 대한 당신의 가르침을 명확히 하십니다.  안식일에 어떤 사람이 자기의 아들이나 소가 우물에 빠지면 안식일일지라도 바로 끌어 내듯이  안식일에 좋은 일을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비록 죽을 병이 아니라 할지라도 병자를 고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랑하면 지혜가 생깁니다. 나를 사랑하면 보이는 것도 보지 못하지만 하느님을 사랑하면 보이지 않는 것도 보게 됩니다. 사랑은 마음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초대에 응답하는 삶을 산다는 것은  우리 자신 만의 힘으로는 불가능 합니다.  자신을 부정하고 자신의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하는 삶이기 때문입니다. 혼자서는 힘든 일이기에 주님의 도우심에 의탁해야 합니다. 이러한 삶을 살 수 있는 은총을 청합니다.

Total 2,665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2505
희망의 시작 - 위기를 지혜로 만들어 가는 지혜 (루카 21, 12-19) - 3067
신부님 | 2023.11.28 | Votes 6 | Views 757
신부님 2023.11.28 6 757
2504
희망의 시작 - 종말은 영원한 삶의 새로운 시작이다.(루카 21, 5-11) - 3066
신부님 | 2023.11.27 | Votes 5 | Views 774
신부님 2023.11.27 5 774
2503
희망의 시작 - 절대 가치를 지닌 헌금(루카 21,1 - 4 ) - 3065
신부님 | 2023.11.25 | Votes 4 | Views 1064
신부님 2023.11.25 4 1064
2502
희망의 시작 - 살아 있는 사람들의 하느님(루카 20,27-40) - 3064
신부님 | 2023.11.24 | Votes 5 | Views 776
신부님 2023.11.24 5 776
2501
희망의 시작 - 창조의 목적에 합당한 삶(루카 19, 45 - 48) - 3063
신부님 | 2023.11.22 | Votes 5 | Views 783
신부님 2023.11.22 5 783
2500
희망의 시작 - 믿음과 신뢰가 꽃피게 하는 도구되는 삶(루카 19, 41-44) - 3062
신부님 | 2023.11.22 | Votes 6 | Views 820
신부님 2023.11.22 6 820
2499
희망의 시작 -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루카 19, 11 - 28) - 3061
신부님 | 2023.11.21 | Votes 5 | Views 879
신부님 2023.11.21 5 879
2498
희망의 시작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에(마태 12, 46-50) - 3060
신부님 | 2023.11.19 | Votes 7 | Views 931
신부님 2023.11.19 7 931
2497
희망의 시작 - 구원은 치유와 감사의 합(루카 18, 35-43) - 3059
신부님 | 2023.11.19 | Votes 6 | Views 933
신부님 2023.11.19 6 933
2496
희망의 시작 - 우리의 참다운 무기인 기도 (루카 18, 1-8) - 3058
신부님 | 2023.11.17 | Votes 4 | Views 703
신부님 2023.11.17 4 703

Enquire now

Give us a call or fill in the form below and we will contact you. We endeavor to answer all inquiries within 24 hours on business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