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말씀 묵상

희망의 시작 - 행복과 불행의 또 다른 모습(루카 10, 13 -16) - 3021

Author
신부님
Date
2023-10-04 17:46
Views
851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3021

2023년 10월 6일 금요일

행복과 불행의 또 다른 모습(루카 10, 13 -16)

13 “불행하여라, 너 코라진아! 불행하여라, 너 벳사이다야! 너희에게 일어난 기적들이 티로와 시돈에서 일어났더라면, 그들은 벌써 자루옷을 입고 재를 뒤집어쓰고 앉아 회개하였을 것이다. 14 그러니 심판 때에 티로와 시돈이 너희보다 견디기 쉬울 것이다.”(루카 10, 13-14)

많은 분들이 삶의 목적에 대해서 행복이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갑자기 이런 질문을 해 봅니다. 나는 참으로 행복했었던 적이 있었던가 그리고 지난날 불행했었다고 생각되던 그 시절을 되돌아 보면서 그 당시의 불행이 최악이었다고 단언할 수도 없습니다. 앞으로 어떤 일들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행복도 불행도 인간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 여전히 미완성의 행복이고 불행입니다. 이들은 너무 나약해서 순간 순간 행복이 불행이 되기도 하고 불행이 행복이 되기도 합니다.  조금만 더 나은 상황이 되면 지금의 행복도 불행으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상대적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이렇게 유약한 상대적인 행불행의 관점에서 절대적인 관점으로의 시선과 사고의 촛점을 바꾸어 살아가는 존재들입니다. 하느님 안에서 믿음으로 살아가는 존재들이기 때문입니다. 세상의 기준에 기초한 행 불행이 아닌 하느님 안에서 절대적인 행복을 누리고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어떠한 외부의 조건도 우리의 행복을 깨뜨리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서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기적을 보고서도 당신을 믿지 않고 받아들이지 않는 것에 대한 심판의 엄중함에 대해서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오늘복음에서 언급되고 있는 ‘코라진’은 갈릴래아 호수 북쪽에 있는 마을이고  ‘벳사이다’는 코라진 옆에 있는 도시인데 베드로, 안드레아, 필립보의 고향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두 마을에서 많은 기적들을 행하셨습니다. 그리고 ‘티로’와 ‘시돈’은 지중해 주변에 있는 도시들인데 이방인 지역의 대표적인 도시들 이었습니다. 그래서 당시에 이 두 도시는 이방인들을 상징하기도 하고, 하느님의 심판을 받게될 도시를 상징하기도 했었습니다.

예수님의 말씀은 이러합니다. 이들 이방인들의 도시인 티로’와 ‘시돈’에서 위에서 언급한 세 도시에서 행한 기적들을 행하셨다면, 그들은 벌써 회개하였을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자신을 되돌아 봅니다. 부모님을 잘 만난 덕으로 모태에서부터 신앙을 생활을 하게 되었습니다. 참으로 행운이었습니다.

믿음의 삶이란  자신이 주인이 되는 삶이 아닌 하느님이 주인이 되시는 삶을 말합니다. 자신이 주인이 되는 삶을 살았다면 저희 부모님들은  실패와 배신의 삶에서 이겨내지 못하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분들은 사기를 당하시면서도 배신을 당하시면도 남의 탓을 하지 않으시고 그것을 받아들이면서 사셨던 분들입니다. 그저 가난은 불편할 따름이라고 생각하셨던 분들이었습니다.

하느님이 이분들의 삶에 배어 있었습니다. 그분들의 그 신앙적인 열성이 한 때는 저에게 믿음에 대한 회의를 갖도록  했지만 그 회의가 오히려 믿음의 뿌리를 깊이 내리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현재의 본인이 사제로서 살아갈 수 있는 것은 바로 그분들의 신앙의 뿌리에서 나왔슴을 알기 때문입니다.

언제부터 신앙생활을 하셨습니까? 하고 물으면 자랑스럽게 저는 ‘모태신앙’입니다. 하고 답을 했었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저와같이 답하시는 분들을 자주 봅니다. 하지만 저는 지금은 ‘모태신앙’이라고 답하는 것을 머뭇거립니다. 부끄러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믿음의 폭과 깊이가 저의 삶을 바쳐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와 같은 사람들 때문에  ‘모태신앙’을 비꼬아서 ‘못해신앙’이라고  말을합니다.

본당에서 책임을 맡아 주십시오 하고 부탁을 하면 다 ‘못한다’고 하는 것에서 유래하나 봅니다. 신앙을 가진 기간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삶이 중요한 것입니다. 오늘 복음 말씀은 바로 저와 같은 사람들에게 예수님께서 하시는 말씀인 것입니다.

에수님께서 행하신 기적들을 보면서도 예수님을 믿지 않고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은 이들 도시가 원래 예수님을 접할 기회가 없었던 티로와 시돈이 받을 벌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모태신앙’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그에 상응하는 삶을 살아가지 못할 때 더욱 엄한 심판과 벌을 받게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하물며 우리 신앙인들의 삶이 일반 사람들의 삶보다 더 나은 삶을 살아가지 못한다면 하느님 앞에서 더욱 엄한 벌을 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성당에서만 그리스도인이고 성당 문 밖을 나가 세상사람들보다 더 세상적인 삶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부끄러운 삶을 반성하게 합니다.

사랑이신 하느님, 저희들이 일상에서 항상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믿음과 가난의 삶을 살 수 있는 은총을 허락하여 주십니다.  우리 주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비나이다. 아멘

Total 2,662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2482
희망의 시작 - 죽은 모든 이들을 기억하는 위령의 날(마태 5, 1-12) - 3044
신부님 | 2023.10.31 | Votes 9 | Views 876
신부님 2023.10.31 9 876
2481
희망의 시작 - 모든 성인 대축일에(마태 5, 1- 12) - 3043
신부님 | 2023.10.30 | Votes 9 | Views 922
신부님 2023.10.30 9 922
2480
희망의 시작 - 하늘나라의 비유 (루카 13,18-21) - 3042
신부님 | 2023.10.29 | Votes 7 | Views 894
신부님 2023.10.29 7 894
2479
희망의 시작 - 죽은 존재와 산 존재의 차이(루카 13, 10-17) - 3041
신부님 | 2023.10.29 | Votes 5 | Views 927
신부님 2023.10.29 5 927
2478
희망의 시작 -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축일(루카 6, 12 -19) - 3040
신부님 | 2023.10.26 | Votes 5 | Views 1174
신부님 2023.10.26 5 1174
2477
희망의 시작 - 내 안에 존재하는 선과 악의 모습 (루카 12, 54 - 59) - 3309
신부님 | 2023.10.25 | Votes 5 | Views 866
신부님 2023.10.25 5 866
2476
희망의 시작 - 인간의 어리석음의 한계는?(루카 12, 49 - 53) - 3038
신부님 | 2023.10.24 | Votes 5 | Views 896
신부님 2023.10.24 5 896
2475
희망의 시작 - 낮아짐으로써 구원하는  삶(루카 12, 39-48) - 3037
신부님 | 2023.10.23 | Votes 10 | Views 965
신부님 2023.10.23 10 965
2474
희망의 시작 - 주인과 종의 사랑의 관계( 루카 12, 35- 38) - 3036
신부님 | 2023.10.22 | Votes 8 | Views 927
신부님 2023.10.22 8 927
2473
희망의 시작 - 일상에서 체험하는 기적(루카 12, 13-21) - 3035
신부님 | 2023.10.21 | Votes 6 | Views 1005
신부님 2023.10.21 6 1005

Enquire now

Give us a call or fill in the form below and we will contact you. We endeavor to answer all inquiries within 24 hours on business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