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말씀 묵상

희망의 시작 - 은총의 사순 시기를 지내면서(마태 9, 14-15) - 3471

Author
신부님
Date
2025-03-06 07:32
Views
1416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3471

2025년 3월 7일 금요일

은총의 사순 시기를 지내면서(마태 9, 14-15)

“혼인 잔치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는 동안에 슬퍼할 수야 없지 않으냐? 그러나 그들이 신랑을 빼앗길 날이 올 것이다. 그러면 그들도 단식할 것이다.”(마태 9, 15)

현대인의 특징은 책임지기를 싫어 합니다. 그래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해야 하는 곳에서는 덜 책임지는 쪽을 선택합니다.  하지만 우리 그리스도인은 선과악에 대한 의견을 표명해야 할 때는 분명하게 자신의 의사를 표시해야 합니다. 당연히 자신의 선택에 대한 책임도 져야 하지요. 이유는 악과 선은 타협할 수가 없습니다. 즉, 양립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하나를 선택하면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것을 받아 들이지 못합니다. 두개를 다 갖고 싶어하는 욕심을 갖고 살아갑니다. 이러한 이유로 식당을 갈 때마다 메뉴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갖습니다. 이것 저것 다 먹고 싶기 때문입니다.

삶의 매 순간 순간을 지내면서 인생의  지혜를 배웁니다. 선택과 포기의 기준을 잘 정하는 지혜입니다.  이것도 먹고 저것도 먹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먹기 위해서 저것을 포기해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바리사이나 율법학자들처럼 규율이나 계명의 노예로 살아서는 안된다고 말씀하십니다.  그 이유는 원래의 이러한 규율이나 계명을 지키는 것에 주의를 두다가 보면  인간적인 따뜻함이 결여된 차가운 이성의 논리만  자리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신앙인의 삶이란 바로 어정쩡한 태도가 아닌 단호한 태도를 요구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선택한 삶을 살아가는 것입니다.

오늘 복음 전 부분에서 예수님께서는 바리사이들의 외적으로 드러나는 삶에 관심을 두는 것에 대해서 ‘하느님께서 참으로 원하시는 것은 자비를 실천하는 것(마태 9, 13)’이라고 가르치십니다. 이들은 하느님을 섬기는 일에는 열과 정성을 다해서 열심히하였지만 하느님께서 참으로 원하시는 것을 찾아서 한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원하는 방식대로 한 것입니다.

이들은 남에게 보이기 위한 일, 겉으로 드러나는 일에, 남에게 인사 받기를 좋아하고 사람이 모이는 곳에 가면 상석에 앉기를 좋아했습니다. 그들의 이러한 생각과 삶의 양식에 대해서 예수님께서는 마음과 행동의 일치를 강조하십니다. 그들의 삶을 통해서 하느님의 참 뜻이 드러나야 한다고 가르치신 것입니다.

이어서 요한의 제자들이 예수님께 와서 “저희와 바리사이들은 단식을 많이 하는데, 스승님의 제자들은 어찌하여 단식하지 않습니까?” 하고 묻습니다. 우리는 세례자 요한이 광야에서 절제와 극기의 생활을한 것을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그의 제자들도 극기와 단식의 생활에 익숙해 있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들이 예수님께 이런 질문을 하는 것은 당연할 것입니다.

예수님의 대답은 세례자 요한이 일전에 당신의 제자들에게  “ 신부를 차지하는 이는 신랑이다. 신랑 친구는 신랑의 소리를 들으려고 서 있다가, 그의 목소리를 듣게 되면 크게 기뻐한다. 내 기쁨도 그렇게 충만하다.”(요한 3, 29) 하고 말씀하시면서 예수님을 신랑으로 자신을 신랑친구로 묘사했었는데 이를 인용해서 그들에게 말씀하십니다.

혼인잔치와 같은 기쁜 곳에 와서 단식을 하는 것은 기쁜 분위기에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기도를 하더라도 남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좋은 일을 하더라도 오른 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고 가르치십니다. 단식을 하더라도 표시가 나지 않도록 화장을 하라고 하시는 그 가르침의 연장선 상에서 말씀을 하시는 것입니다.  이어서 예수님께서는 새 천조각을 헌 옷에 대고 꿰매지 않는다는 것과 새 포도주를 헌 가죽 부대에 담지 않는다는 것을 비유로 드십니다. 이 두 비유는 표현만 다르지 실제의 의미는 같습니다.

‘헌 옷’은 당시의 바리사이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실천했던 규정들이라면, ‘새 천’은 예수님의 새로운 복음을 의미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 비유의 참된 의미는 예수님의 복음의 참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바리사이들의 생각이 바뀌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우리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개혁이 어려운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옛 생각과 삶의 양식을 고집하면 새로운 것을 받아 들일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것을 주장하는 사람을 싫어하고 멀리 할려고 하는 것입니다.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새로운 마음이 필요한 것입니다. 위로부터의 태어나야 합니다. 성령으로 거듭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다시 한번 나를 바라봅니다. 그리고 ‘나는 자신이 변화되기를 두려워 하는가?’ 질문합니다. 나는 믿음과 삶을 분리시키면서 살아가고 있지는 않은가 하고 질문을 해 봅니다. 은총의 사순시기를 지내면서 이러한 질문에 ‘예’라고 답하는 삶을 살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Total 3,010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2960
희망의 시작 -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하는 것의 의미(요한 14, 7-14) - 3531
신부님 | 2025.05.11 | Votes 6 | Views 770
신부님 2025.05.11 6 770
2959
희망의 시작 -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예수님(요한 14,1-6) - 3530
신부님 | 2025.05.11 | Votes 4 | Views 1117
신부님 2025.05.11 4 1117
2958
희망의 시작 - 자신의 정체성에 합당한 삶(요한 13,16-20) - 3529
신부님 | 2025.05.11 | Votes 3 | Views 856
신부님 2025.05.11 3 856
2957
희망의 시작 - 마티아 사도 축일(요한 15, 9-17) - 3528
신부님 | 2025.05.11 | Votes 5 | Views 1120
신부님 2025.05.11 5 1120
2956
희망의 시작 - 굳건한 믿음으로 성장하는 공동체 (요한 10,22-30) - 3527
신부님 | 2025.05.10 | Votes 2 | Views 865
신부님 2025.05.10 2 865
2955
희망의 시작 - 목자와 양의 이상적인 관계(요한 10, 1-10) - 3526
신부님 | 2025.05.10 | Votes 2 | Views 1051
신부님 2025.05.10 2 1051
2954
희망의 시작 - 추세를 거스르는 삶(요한 6,60ㄴ-69 - 3525
신부님 | 2025.05.08 | Votes 2 | Views 885
신부님 2025.05.08 2 885
2953
희망의 시작 - 변화가 생명이며 생명이 곧 희망이다(요한 6, 52-59) - 3524
신부님 | 2025.05.07 | Votes 2 | Views 999
신부님 2025.05.07 2 999
2952
희망의 시작 - 하느님의 다가오심과 이끄심(요한 6, 44-51) - 3523
신부님 | 2025.05.06 | Votes 2 | Views 803
신부님 2025.05.06 2 803
2951
희망의 시작 - 전화위복(轉禍爲福)의 신비(요한 6, 35-40) - 3522
신부님 | 2025.05.05 | Votes 3 | Views 986
신부님 2025.05.05 3 986

Enquire now

Give us a call or fill in the form below and we will contact you. We endeavor to answer all inquiries within 24 hours on business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