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시작 - 예수님의 사랑의 두 방식(루카 7,11-17) - 3006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3006
2023년 9월 19일 화요일
예수님의 사랑의 두 방식(루카 7,11-17)
“주님께서는 그 과부를 보시고 가엾은 마음이 드시어 그에게, "울지 마라." 하고 이르시고는 앞으로 나아가 관에 손을 대시자 메고 가던 이들이 멈추어 섰다. 예수님께서 이르셨 다. "젊은이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루카 7, 13-14)
우리가 주님 안에서 사랑하는 삶을 살면 하느님께서 축복을 해 주십니다. 이 사랑의 마음은 하느님의 마음입니다. 하느님께서 당신의 모상으로 우리를 창조하신 이유일 것입니다. 당신의 모상으로 창조된 우리는 당신의 마음을 원래는 갖고 있었을 것입니다. 아담고 이브의 타락이 없엇다면 그 아름다운 마음을 지금도 간직하고 살고 있을 것입니다.
하느님의 사랑의 한 단면을 오늘 복음을 통하여 보게 됩니다. 사회적인 약자에 대한 적극적인 사랑의 실천입니다. 믿음이 전제된 사람에 대한 베품이 아닌 당신께서 직접 다가가시는 사랑의 모습입니다.
오늘 이 복음의 앞부분에는 예수님께서 백인대장의 아들을 치유하는 장면이 나오고 이어서 과부의 아들을 살리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바로 오늘의 복음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전개를 보면서 이 복음서의 저자는 예수님은 병을 치유하실 뿐만 아니라 죽은 사람까지도 살리시는 분이심을 독자들에게 알리고자 함을 알 수 있습니다.
과부의 아들이 죽음을 이기고 살아남을 목격한 사람들은 하느님을 두려워하면서도 하느님을 찬양합니다. 예수님을 큰 예언자로 말하기도 하고 예수님을 통해서 하느님께서 당신 백성을 찾아 오셨다고 말합니다.
예수님께서 병을 낫게 해 주시거나 기적을 행하실 때를 보면 대개 두 경우를 볼 수가 있습니다. 하나는 환자들이 예수님을 직접 찾아와서 치유해 달라고 청합니다. 이 경우 예수님께서는 이들의 믿음을 보시고 이들의 병을 치유해 줍니다.
하지만 오늘 복음의 경우는 다릅니다. 믿음으로 찾아와서 예수님으로부터 치유나 기적을 청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 당신께서 직접 측은한 마음(마태 14:14 = 마르 6:34 = 루카 9:11; 마태 15:32 = 마르 8:2[1])을 가지시고 과부의 외아들을 살리십니다.
당시의 과부는 참으로 의지할 데 없는 약자 중의 약자였습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과부 역시 오로지 자신의 외아들에게 의지하며 살아왔을 것입니다. 자신의 삶의 마지막 희망이었을 수도 있었던 외아들의 죽음은 이 과부에게는 모든 것을 잃은 것이나 다름이 없었을 것입니다.
외아들의 시신이 든 관을 옮기면서 슬피 울고있는이 과부를 보고서 예수님께서 가엾은 마음이 들었읍니다. 여인에게 “울지 마라” 하고 말씀하십니다. 이 말씀이 꼭 과부에게만 하시는 말씀이 아님을 우리는 잘 압니다. 이 어렵고 힘든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하시는 말씀입니다. 세상 삶이 너무 어렵고 이제 의지할 데 없어 절망 속에서 눈물로 세상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오신 예수님께서 하시는 말씀인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젊은이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그러자 죽었던 아이가 일어나 앉아서 말을 하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물론 무슨 말을 하였는지 모르지만 예수님께서 이 젊은이에게 하신 ‘일어나라’라는 이 말씀이 지금 우리에게 하시는 말씀인 것입니다.
이제 세상과 함께 세상 안에서 영적인 죽음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모든 것을 털고 ‘일어나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세상은 우리를 죽음으로 초대합니다. 이 세상과 함께 하는 삶이 우리의 행복을 보장하는 삶이라고 아담과 하와를 유혹했던 그 뱀이 또 다른 존재양식으로 우리를 죽음의 세계로 초대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영적인 죽음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주님께서는 이제 ‘일어나라’고 말씀하십니다. ‘잠에서 깨어나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바로 사탄과의 영적인 투쟁에 분연히 일어나서 죽음을 이기는 하느님의 무기로 완전무장을 하라고 말씀하십니다.
하느님 아버지, 당신께서는 사랑으로 만물을 창조하시고 다스리시니 저희를 굽어보시어 저희가 당신의 자비를 깨닫고 마음을 다하여 당신을 섬기는 삶을 살게 해 주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기도드립니다.
Number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2444 |
New 희망의 시작 -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 기념일(루카 8, 4-15) - 3010
신부님
|
05:43
|
Votes 0
|
Views 52
|
신부님 | 05:43 | 0 | 52 |
2443 |
New 희망의 시작 - 사랑의 관점과 이해의 관점(루카 8, 1-3) - 3009
신부님
|
2023.09.20
|
Votes 2
|
Views 168
|
신부님 | 2023.09.20 | 2 | 168 |
2442 |
New 희망의 시작 - 성 마태오 사도 복음 사가 축일에(마태 9,9-13) - 3008
신부님
|
2023.09.19
|
Votes 8
|
Views 361
|
신부님 | 2023.09.19 | 8 | 361 |
2441 |
New 희망의 시작 - 불신의 삶은 청개구리 삶(루카 7,31-35) - 3007
신부님
|
2023.09.18
|
Votes 6
|
Views 430
|
신부님 | 2023.09.18 | 6 | 430 |
2440 |
New 희망의 시작 - 예수님의 사랑의 두 방식(루카 7,11-17) - 3006
신부님
|
2023.09.17
|
Votes 6
|
Views 413
|
신부님 | 2023.09.17 | 6 | 413 |
2439 |
희망의 시작 - “예수님께서 감탄하신 백인대장의 믿음”(루카 7, 1-10) - 3005
신부님
|
2023.09.16
|
Votes 4
|
Views 478
|
신부님 | 2023.09.16 | 4 | 478 |
2438 |
희망의 시작 - 성 고르넬리오 교황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순교자 기념일(루카 6, 43-49) - 3004
신부님
|
2023.09.14
|
Votes 4
|
Views 461
|
신부님 | 2023.09.14 | 4 | 461 |
2437 |
희망의 시작 -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루카 2, 33-35 /요한 19,25-27) - 3003
신부님
|
2023.09.13
|
Votes 6
|
Views 497
|
신부님 | 2023.09.13 | 6 | 497 |
2436 |
희망의 시작 - 십자가 현양축일에 (요한 3, 13-17) - 3002
신부님
|
2023.09.12
|
Votes 3
|
Views 476
|
신부님 | 2023.09.12 | 3 | 476 |
2435 |
희망의 시작 -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 기념일(루카 6, 20-26) - 3001
신부님
|
2023.09.11
|
Votes 3
|
Views 498
|
신부님 | 2023.09.11 | 3 | 4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