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시작 -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은혜에 감사하는 삶(루카 5, 27 - 32) - 3472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3472
2025년 3월 8일 토요일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은혜에 감사하는 삶(루카 5, 27 - 32)
“건강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다.”(루카 5, 31-32)
행복의 길에는 두가지의 길이 있습니다. 세상적인 추구를 통한 행복과 거룩함을 통한 추구의 길입니다. 세상적인 추구는 자기 중심적인 성취라고 하면 거룩함을 통한 추구는 하느님의 시선에 합당한 추구일 것입니다. 소유와 비움, 죽음과 생명의 대조적인 모습의 삶의 모습일 것입니다.
하느님 때문에 자신을 산 제물로 바치는 삶이 바로 우리 그리스도인의 삶입니다. 이러한 삶을 살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자신에게 베풀어주신 하느님의 모든 은혜를 볼 줄 아는 열린 마음입니다. 감사가 우러나오면 언제나 하느님 때문에 자신을 봉헌하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당연한 것처럼 보이는 것조차도 감사의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 복음의 앞부분에는 이웃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병자를 치유해 주셨던 예수님께서 오늘은 세관원인 레위를 부르십니다. 여기서 레위는 마태오 복음에서는 세관에 앉아 있는 마태오라는 세관원을 그리고 마르코 복음 2장 14절에서 알패오의 아들 레위라고 합니다. 이들이 동일 인물이고 열 두 사도 중의 한 사람이라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우리는 여기서 동일 인물로 생각합니다.
예수님께서 그를 보시고 “나를 따라라” 하고 말씀하시자 레위는 ‘모든 것을 버려 둔 째 일어나서 예수님을 따랐다고 합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는 세리의 집에 가서 식사까지 하십니다.
당시의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식사는 일종의 거룩한 의식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있어서 함께 한 식탁에서 식사를 한다는 것은 함께 식사를 하는 이들을 자신의 사람으로 받아들이고 환영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죄인들과 함께 식사를 한다는 것은 자신도 죄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예수님께서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식사하고 계시는 것을 보고 있던 바리사이들이나 율법학자들이 예수님의 이러한 행동에 대해서 비판하고 불만을 드러내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이미 당신은 죄인이 아니신 분이시지만 사람들을 사랑하는 일이라면 당신 스스로 죄인이 되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던 분이십니다. 당신께서 세례자 요한에게서 세례를 받으셨던 것부터 간음한 여인을 단죄하지 않으셨던 그러한 일들을 통해서 우리는 예수님의 이러한 생각을 엿볼 수가 있는 것입니다.
오늘 예수님께서 “건강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과 하시는 말씀을 통해서 우리는 그 해답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스스로가 환자임을 아는 사람은 당연히 병을 고치기 위해서 의사를 찾아 갈 것입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중병을 앓고 있으면 있을수록 더 많은 병원비를 지불할 준비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중한 병에 걸려 있는가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레위는 자신이 참으로 큰 죄를 짓고 살아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동시에 예수님께서 메시아이심을 알고 있는 것입니다. 그분께는 영원한 생명이 있슴을 알기에 그는 모든 것을 포기하고 따라 나설 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면서 세상적인 것 때문에 만사에서 하느님을 발견하지 못합니다. 예수님께서 “너 자신이 죄인임을 고백하는 삶을 살아라.” 고 말씀하십니다. 이 말씀을 실천하는 바로 그 순간 우리는 세상으로부터 자유하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주님을 찾는 마음이 간절하면 간절할 수록 눈에 보이는 세상이 아닌 믿음으로만 볼 수 있는 하느님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은총의 사순시기를 지내면서 자신이 하느님 앞에서 죄인임을 고백하면서 세상으로부터 자유하는 삶을 살고자 노력합니다. 하느님께서 베풀어 주신 모든 은혜를 새롭게 느끼며 감사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Number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2941 |
New 희망의 시작 - 미래로 나아가게 하는 참 사람(요한 21,1-14) - 3510
신부님
|
16:12
|
Votes 0
|
Views 30
|
신부님 | 16:12 | 0 | 30 |
2940 |
New 희망의 시작 - 평화가 너희와 함께(루카 24, 35- 48) - 3511
신부님
|
2025.04.22
|
Votes 3
|
Views 165
|
신부님 | 2025.04.22 | 3 | 165 |
2939 |
New 희망의 시작 - 믿는데 굼뜬 나의 모습(루카 24, 13-35) - 3510
신부님
|
2025.04.21
|
Votes 2
|
Views 359
|
신부님 | 2025.04.21 | 2 | 359 |
2938 |
New 희망의 시작 - 부활은 죽음과 생명의 교환이다(요한 20, 11-18) - 3509
신부님
|
2025.04.20
|
Votes 4
|
Views 459
|
신부님 | 2025.04.20 | 4 | 459 |
2937 |
New 희망의 시작 - 사건이 아닌 신앙으로 받아들이는 부활 (마태 28,8-15) - 3508
신부님
|
2025.04.19
|
Votes 3
|
Views 553
|
신부님 | 2025.04.19 | 3 | 553 |
2936 |
희망의 시작 - 주님 수난 성 금요일(요한 18, 1-19, 42) - 3507
신부님
|
2025.04.15
|
Votes 4
|
Views 666
|
신부님 | 2025.04.15 | 4 | 666 |
2935 |
희망의 시작 - 주님 만찬 성 목요일(요한 13, 1-15) - 3506
신부님
|
2025.04.14
|
Votes 4
|
Views 703
|
신부님 | 2025.04.14 | 4 | 703 |
2934 |
희망의 시작 - 우리 인간의 참가치는 얼마일까?(마태 26, 14-26) - 3505
신부님
|
2025.04.14
|
Votes 3
|
Views 644
|
신부님 | 2025.04.14 | 3 | 644 |
2933 |
희망의 시작 - 죽음의 길을 넘어 생명의 길로(요한 13,21ㄴ-33.36-38) - 3504
신부님
|
2025.04.14
|
Votes 4
|
Views 755
|
신부님 | 2025.04.14 | 4 | 755 |
2932 |
희망의 시작 - 사랑은 결코 낭비가 아닙니다(요한 12, 1-11) - 3503
신부님
|
2025.04.13
|
Votes 4
|
Views 648
|
신부님 | 2025.04.13 | 4 | 6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