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시작 - 완전함 속에 담긴 하느님의 신비(마태 5, 43 -48) - 3478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3478
2025년 3월 15일 토요일
완전함 속에 담긴 하느님의 신비(마태 5, 43 -48)
48 그러므로 하늘의 너희 아버지께서 완전하신 것처럼 너희도 완전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 마태 5, 48)
형님을 주님께로 보내 드리면서 인간의 나약함과 위대함을 동시에 깨닫습니다. 인간의 극심한 나약함 속에 담겨져 있는 하느님의 신비입니다. 이 신비가 바로 인간의 나약함을 넘어 강함으로 인도합니다. 하느님의 이 신비는 믿음의 눈으로만 보고 만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와는 반대로 인간의 위대함 뒤에 숨겨진 나약한 인간의 모습입니다. 아무리 위대한 인간도 죽음을 비켜갈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다 죽습니다. 이 죽음이 바로 인간의 불완전함을 극명하게 입증하는 요소 입니다. 믿음은 겉으로 드러난 인간의 강함 속에서 냐약함을 보게하는 눈과 지혜를 줍니다.
오늘 복음은 우리가 하느님의 나라에서 살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하는가를 가르쳐줍니다. 하느님께서 완전하신 것처럼 우리도 완전해 지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구원은 나의 의지에 의해서가 아닌 하느님의 뜻에 의해서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뜻에 응답하는 삶으로 구원되는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내려주시는 구원의 동앗줄을 잡느냐 안잡느냐는 우리의 의지에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그 동앗줄을 잡는 구체적인 행위가 바로 원수를 사랑하고 나를 박해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기도하는 것입니다.
구약의 사람들은 하느님을 ‘아바, 아버지’라고 부르지를 못했습니다. 아담과 하와의 죄의 영향을 그대로 받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예수님을 통해서 하느님을 ‘아바, 아버지’라고 부를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아버지의 자녀가 되는 조건으로 ‘원수를 사랑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이 원수의 의미는 그냥 나와 원한관계에 있는 사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이들 뿐만 아니라 우리를 ‘박해하는 사람들’도 포함하는 것입니다.
원수를 어떻게 사랑하는가에 대해서 잠언은 “네 원수가 주리거든 먹을 것을 주고 목말라하거든 물을 주어라.”(잠언 25, 21) 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이들을 이렇게 도와 주는 것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여기 덧붙여서 박해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기도하라고 하십니다. 이들을 위해서 사랑하고 기도하는 것이 바로 아버지의 아들이 되는 조건입니다.
왜 원수를 사랑해야 하고 기도를 해야 하나에 대해서 생각을 해 봅니다. 우리가 원수를 사랑하는 궁극 목적은 그들도 원래 우리와 같은 하느님의 자녀였다가 떨어져 나간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그들을 다시 아버지의 품으로 돌아오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하느님 안에서의 사랑은 못할것이 없습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마음과 생각이 그리고 삶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 말은 우리의 사랑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좋아하는 사람만 사랑할려고 하는 유혹을 받습니다. 사실 우리가 우리를 사랑하는 사람만 사랑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입니다. 이러한 일을 하면서 상은 받을 수가 없습니다. 우리는 우리자신을 세례를 통해서 우리를 이미 예수님의 십자가에 못박았습니다. 그래서 그리스도가 내 안에 살고 있습니다(갈라 2, 19-20). 내가 죽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기억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일입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새로운 계명 ”서로 사랑하여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요한 13, 34) 는 말씀과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루카 6, 36 )는 말씀처럼 결국 자비와 사랑은 하느님께서 완전하신 것처럼 우리도 완전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이 사랑은 우리가 꼭 실천해야 하는 조건인 것입니다.
인간은 한계적인 존재이기에 실망과 좌절을 하게 됩니다. 이성적으로 이해가 안되는 것에 대한 불평과 불만이 생기기도 합니다. 주님 안에서 살아간다고 하면서도 순간 순간 이러한 유혹에 쓰러집니다. 우리를 미워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기도한다는 것은 그들의 회개를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우리 자신들이 빠지기 쉬운 유혹을 이겨내는 방법이기도 한 것입니다.
기도만이 유혹을 이겨낼 수 있는 힘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기도는 우리에게 기쁨과 감사를 주는 원천이기 때문입니다. 또 이 기도는 우리의 한계를 하느님께서 넘게하시는 매직파워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독서와 복음을 통해서 우리는 하느님께서 정의와 사랑의 하느님이심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됩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뜻을 따르며 정의롭게 살아가고, 동시에 하느님의 사랑을 실천함으로써 세상에 빛과 소금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오늘 이 말씀을 마음에 새기며, 우리의 삶 속에서 하느님의 정의와 사랑을 실천하는 그리스도인이 되도록 노력합시다.
오늘 당신의 품안에서 당신의 손으로 데려가신 모든 생명들이 당신의 품안에서 영원한 안식을 누리시기를 기도합니다.
Number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2940 |
New 희망의 시작 - 평화가 너희와 함께(루카 24, 35- 48) - 3511
신부님
|
2025.04.22
|
Votes 2
|
Views 141
|
신부님 | 2025.04.22 | 2 | 141 |
2939 |
New 희망의 시작 - 믿는데 굼뜬 나의 모습(루카 24, 13-35) - 3510
신부님
|
2025.04.21
|
Votes 2
|
Views 359
|
신부님 | 2025.04.21 | 2 | 359 |
2938 |
New 희망의 시작 - 부활은 죽음과 생명의 교환이다(요한 20, 11-18) - 3509
신부님
|
2025.04.20
|
Votes 4
|
Views 457
|
신부님 | 2025.04.20 | 4 | 457 |
2937 |
New 희망의 시작 - 사건이 아닌 신앙으로 받아들이는 부활 (마태 28,8-15) - 3508
신부님
|
2025.04.19
|
Votes 3
|
Views 553
|
신부님 | 2025.04.19 | 3 | 553 |
2936 |
희망의 시작 - 주님 수난 성 금요일(요한 18, 1-19, 42) - 3507
신부님
|
2025.04.15
|
Votes 4
|
Views 666
|
신부님 | 2025.04.15 | 4 | 666 |
2935 |
희망의 시작 - 주님 만찬 성 목요일(요한 13, 1-15) - 3506
신부님
|
2025.04.14
|
Votes 4
|
Views 703
|
신부님 | 2025.04.14 | 4 | 703 |
2934 |
희망의 시작 - 우리 인간의 참가치는 얼마일까?(마태 26, 14-26) - 3505
신부님
|
2025.04.14
|
Votes 3
|
Views 644
|
신부님 | 2025.04.14 | 3 | 644 |
2933 |
희망의 시작 - 죽음의 길을 넘어 생명의 길로(요한 13,21ㄴ-33.36-38) - 3504
신부님
|
2025.04.14
|
Votes 4
|
Views 755
|
신부님 | 2025.04.14 | 4 | 755 |
2932 |
희망의 시작 - 사랑은 결코 낭비가 아닙니다(요한 12, 1-11) - 3503
신부님
|
2025.04.13
|
Votes 4
|
Views 648
|
신부님 | 2025.04.13 | 4 | 648 |
2931 |
희망의 시작 - 생명의 샘물이 흘러 나오는 삶(요한 11, 45-56) - 3502
신부님
|
2025.04.10
|
Votes 3
|
Views 814
|
신부님 | 2025.04.10 | 3 | 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