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말씀 묵상

희망의 시작 - 나는 예수님을 사랑하는가?(요한 14, 21-26) - 2537

Author
신부님
Date
2022-05-14 21:22
Views
1622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2537

2022년 5월 16일 월요일

나는 예수님을 사랑하는가?(요한 14, 21-26)

 "내 계명을 받아 지키는 이야말로 나를 사랑하는 사람이다. 나를 사랑하는 사람은 내 아버지께 사랑을 받을 것이다. 그리고 나도 그를 사랑하고 그에게 나 자신을 드러내 보일 것이다.”(14, 21)

예수님께서는 내 계명을 받아 지키는 이야말로 나를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을 사랑한다는 표시가 바로 당신의 계명을 지키는 것으로 입증된다는 것입니다. 계명이 무엇인가를 질문하기 전에 그냥 ‘나는 예수님을 사랑하는가?’ 하고 나에게 물어봅니다. 갑자기 나에게 이런 질문을 하니까 답이 궁해집니다. 

신자들에게 우리는 정말 예수님을 사랑해야 합니다. 하고 수없이 말을 하면서도 정작 자신에게 물어보니 쉽게 답이 나오질 않습니다. 구체적으로 나는 예수님을 어떻게 사랑했는가?

예수님의 말씀을 다시 읽어봅니다. “예수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예수님의 계명을 받아 지키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예수님의 계명은 무엇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내가 너희에게 새 계명을 준다. 서로 사랑하여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모든 사람이 그것을 보고 너희가 내 제자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요한 13, 14-15) 하고 말씀하십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사랑을 서로에게 실천하면 그 사랑을 통해서 사람들이 우리가 예수님의 제자라를 사실을 알게된다고 합니다. 우리가 일반사람과의 차이는 바로 이 사랑의 실천에 있슴을 보여주십니다.

예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신것 처럼 우리도 서로 사랑하는 것이 바로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계명입니다. 예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셨던 방법은 바로 십자가의 사랑입니다.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서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이십니다. 당신께서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신 것처럼 우리도 그러한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고 합니다.

필립피서 2장은  예수님께서 우리를 어떻게 사랑하셨나를 이렇게 말해 줍니다.

그분께서는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셨지만 하느님과 같음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으시고 오히려 당신 자신을 비우시어 종의 모습을 취하시고 사람들과 같이 되셨습니다. 이렇게 여느 사람처럼 나타나 당신 자신을 낮추시어 죽음에 이르기까지, 십자가 죽음에 이르기까지 순종하셨습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도 그분을 드높이 올리시고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그분께 주셨습니다.(필립 2, 6-9)

이것이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보여주셨던 사랑의 모습입니다. 이렇게 철저하게 자신을 내어 놓았기 때문에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드높이 올리십니다.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셨습니다.

이러한 사랑의 실천이 바로 우리가 예수님을 사랑하는 표시인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불가능한 삶의 모습입니다. 에수님께서는 이러한 우리에게 보호자 성령((parakletos)을 보내 주십니다. 파라클레이토스라는 말은 우리 옆에서 우리를 위해서 변호해 주시는 분, 혹은 도움을 주시는 분으로 번역할 수가 있습니다. 이 성령은 우리의 부족함을 채워주시고 우리에게 무엇이 옳은지를 가르쳐 주시고 매 순간 순간 우리의 필요을 충족시켜주시는 분이십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보호자이신 성령을 보내주시는 이유는 바로 우리가 당신의 사랑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시기 위함이고 우리가 아버지의 사랑을 받게해주시기 위함입니다. 예수님의 이 크신 사랑을 마음에 담습니다. 추상적으로 보이는 예수님을 사랑하는가에 대한 질문의 답이 구체적으로 다가옵니다.

Total 3,006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3006
New 희망의 시작 - 거저 받았으니거저 주는 삶 (마태 10,7-15) - 3677
신부님 | 07:40 | Votes 0 | Views 2
신부님 07:40 0 2
3005
New 희망의 시작 - 역경 속에서 숨겨져 있는 하느님의 은총(마태오 복음 10,1-7) - 3676
신부님 | 2025.07.07 | Votes 0 | Views 140
신부님 2025.07.07 0 140
3004
New 희망의 시작 - 하느님의 사람이 되기 위한 조건(마태 9, 32-38)- 3675
신부님 | 2025.07.06 | Votes 5 | Views 462
신부님 2025.07.06 5 462
3003
New 희망의 시작 - 우리의 마음을 어루 만지는 말씀 (마태 9, 18-26) - 3674
신부님 | 2025.07.05 | Votes 5 | Views 411
신부님 2025.07.05 5 411
3002
희망의 시작 -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마태 10, 17-22)- 3673
신부님 | 2025.07.03 | Votes 6 | Views 549
신부님 2025.07.03 6 549
3001
희망의 시작 - 새로운 시작을 향한 발걸음(마태 9, 9-13) - 3672
신부님 | 2025.07.02 | Votes 8 | Views 632
신부님 2025.07.02 8 632
3000
희망의 시작 - 성 토마스 사도 축일 (요한 20,24-29)- 3671
신부님 | 2025.07.01 | Votes 6 | Views 672
신부님 2025.07.01 6 672
2999
희망의 시작 - 하느님의 자비와 인간의 닫혀진 마음(마태 8, 23-27) - 3670
신부님 | 2025.06.30 | Votes 6 | Views 554
신부님 2025.06.30 6 554
2998
희망의 시작 - 소금기둥의 교훈(마태 8, 23-27) - 3669
신부님 | 2025.06.28 | Votes 5 | Views 627
신부님 2025.06.28 5 627
2997
희망의 시작 - 하느님을 향한 신뢰와 따름 – 머물지 말고, 걸어가라(8,18-22) - 3568
신부님 | 2025.06.28 | Votes 3 | Views 645
신부님 2025.06.28 3 645

Enquire now

Give us a call or fill in the form below and we will contact you. We endeavor to answer all inquiries within 24 hours on business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