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시작 - 믿는 우리를 위해서 기도하시는 예수님(요한 17, 20 - 26) - 2904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2904
2023년 5월 25일 목요일
믿는 우리를 위해서 기도하시는 예수님(요한 17, 20 - 26)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아버지, 아버지께서 제 안에 계시고 제가 아버지 안에 있듯이, 그들도 우리 안에 있게 해 주십시오. 그리하여 아버지께서 저를 보내셨다는 것을 세상이 믿게 하십시오.”(요한 17, 21)
이 세상이 이렇게 어두운 이유는 갈등과 분열이 지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갈등과 분열은 자기 중심적인 생각이나 욕망에서 비롯됩니다. 이들이 모인 집단 역시 그 집단의 이익이나 목적을 이기적으로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됨은 어쩌면 불가능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둠이 깊으면 깊을수록 우리 그리스도인의 역할이 더욱더 필요할 것입니다.
기도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살아갈 때가 있습니다. 기도를 하면서도 그냥 형식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기도를 하면서도 하느님께서 나의 기도를 들어 주실까 하는 의심을 갖고서 기도를 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나만을 위한 기도, 이기적인 기도가 참으로 많습니다.
이렇게 어두운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예수님께서는 기도를 하라고 하십니다. 당신께서 저희를 위해서 기도하시는 것처럼 우리 역시 우리의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17장에서 이제 마지막으로 당신을 믿는 사람들을 위해서 기도하십니다. 이 기도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직접 해당되는 것입니다. 가장 먼저 예수님께서는 11절에서 제자들이 하나가 되기를 기도하셨던 것처럼 당신을 믿고 따르는 모든 사람들이 하나가 되기를 기도하십니다.
‘하나가 된다 함’은 같은 이해로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이 사랑은 아버지와 아들의 사랑의 일치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일치를 통해서 사람들이 예수님이 성부로 부터 파견된 구세주이심을 믿게 된다는 것입니다.
성령은 우리가 하나되게 하지만 사탄은 우리를 분열시킵니다.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나는 이 공동체의 하나됨을 위해서 일을 하는지 분열시키고 있는지를 잘 반성해 보아야 합니다. 하느님의 일을 한다고 하면서 자신이 드러나게 한다든지 정의를 주장하면서 사랑이 결여된다든지 함으로서 공동체의 분열을 야기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믿는 사람들을 위한 예수님의 간절한 기도는 하느님과 예수님이 하나인 것 같이, 예수님과 우리가 하나인 것을 세상 사람들로 하여금 알게 해 달라는 것입니다. 이어서 예수님께서는 아버지께서 당신께 주신 영광을 믿는 사람들에게 주었다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영광’이란 아버지의 사랑(23절)이고 하느님 나라에서 하느님과 함께 사는 것(24절)을 말합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구원’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구원받기를 워한다면 그 전제는 ‘하나됨’입니다. 하느님과 우리와의 하나됨이고 우리 사이의 하나됨을 의미합니다.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영광을 저도 그들에게 주었습니다. 우리가 하나인 것처럼 그들도 하나가 되게 하려는 것입니다.”(요한 17, 22)
예수님의 이러한 간절한 기도가 우리의 삶 속에서 이루어지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이들에게 이 영광을 준 이유는 믿는 사람들이 하나되게 하기 위해서라고 말씀하십니다.
23절의 말씀은 22절의 말씀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는 그들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는 제 안에 계십니다. 이는 그들이 완전히 하나가 되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버지께서 저를 보내시고, 또 저를 사랑하셨듯이 그들도 사랑하셨다는 것을 세상이 알게 하려는 것입니다.”(요한 17, 23)
예수님께서는 당신께서 우리와 함께하심은 아버지와 당신이 하나이신 것처럼 우리 신앙인들도 아버지와 하나가 되게 하려는 것이라고 합니다. 완전한 하나됨은 바로 우리 신앙인들이 아버지와 일치를 이룰 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불완전한 사람끼리의 일치는 불완전하지만 완전자 안에서의 일치는 완전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신앙인들이 예수님을 통해서 하느님과 일치를 이루게 되면 하느님의 사랑을 받게 되고 이 사랑은 우리들의 삶을 통해서 세상에 전해질 것입니다. 이렇게 세상사람들이 우리를 통해서 전해지는 하느님의 사랑을 보게되면 이들이 하느님께서 예수님을 이 세상에 보내셨고 예수님이 우리의 구세주이심을 믿게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에 어떻게 선교를 해야 하는 가에 대한 방법이 담겨져 있는 것입니다. 선교는 ‘예수님을 믿으시오!’ 하고 외치는 구호가 아닌 우리의 삶을 통해서 하느님의 사랑을 이웃에게 보여주어 이들이 이 사랑을 알게 하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Number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2444 |
New 희망의 시작 -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 기념일(루카 8, 4-15) - 3010
신부님
|
05:43
|
Votes 1
|
Views 53
|
신부님 | 05:43 | 1 | 53 |
2443 |
New 희망의 시작 - 사랑의 관점과 이해의 관점(루카 8, 1-3) - 3009
신부님
|
2023.09.20
|
Votes 2
|
Views 173
|
신부님 | 2023.09.20 | 2 | 173 |
2442 |
New 희망의 시작 - 성 마태오 사도 복음 사가 축일에(마태 9,9-13) - 3008
신부님
|
2023.09.19
|
Votes 8
|
Views 361
|
신부님 | 2023.09.19 | 8 | 361 |
2441 |
New 희망의 시작 - 불신의 삶은 청개구리 삶(루카 7,31-35) - 3007
신부님
|
2023.09.18
|
Votes 6
|
Views 433
|
신부님 | 2023.09.18 | 6 | 433 |
2440 |
New 희망의 시작 - 예수님의 사랑의 두 방식(루카 7,11-17) - 3006
신부님
|
2023.09.17
|
Votes 6
|
Views 413
|
신부님 | 2023.09.17 | 6 | 413 |
2439 |
희망의 시작 - “예수님께서 감탄하신 백인대장의 믿음”(루카 7, 1-10) - 3005
신부님
|
2023.09.16
|
Votes 4
|
Views 478
|
신부님 | 2023.09.16 | 4 | 478 |
2438 |
희망의 시작 - 성 고르넬리오 교황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순교자 기념일(루카 6, 43-49) - 3004
신부님
|
2023.09.14
|
Votes 4
|
Views 461
|
신부님 | 2023.09.14 | 4 | 461 |
2437 |
희망의 시작 -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루카 2, 33-35 /요한 19,25-27) - 3003
신부님
|
2023.09.13
|
Votes 6
|
Views 497
|
신부님 | 2023.09.13 | 6 | 497 |
2436 |
희망의 시작 - 십자가 현양축일에 (요한 3, 13-17) - 3002
신부님
|
2023.09.12
|
Votes 3
|
Views 476
|
신부님 | 2023.09.12 | 3 | 476 |
2435 |
희망의 시작 -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 기념일(루카 6, 20-26) - 3001
신부님
|
2023.09.11
|
Votes 3
|
Views 498
|
신부님 | 2023.09.11 | 3 | 4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