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강론

희망의 시작 - 씨뿌리는 사람의 비유(마태 13, 1-9)

Author
kchung6767
Date
2017-07-14 06:24
Views
2901

연중 제 15 주일 강론

2017년 7월 16일

씨뿌리는 사람의 비유(마태 13, 1-9)

“귀 있는 사람은 들어라.”(마태 13, 9)

오늘 복음은 마태오 복음 13장에 나오는 하늘나라를 설명하는 일곱 가지의 비유(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 가라지의 비유, 겨자씨의 비유, 누룩의 비유, 보물과 진주, 그리고 그물의 비유)들 가운데서 첫 번 째로 나오는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입니다.

오늘 복음을 통해서 우리는  하느님 나라의 시작은 바로 하느님 나라에 관한 말씀의 선포로 시작됨을 알 수가 있습니다. 하느님의 말씀은 예수님과 교회를 통해서 땅에 씨를 뿌리듯이 선포되지만 그 말씀을 받아들이는 이들의 자세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냅니다.

이 비유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몇가지의 상징적인 의미를 아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복음에서 말하고 있는 씨는 ‘하느님의 말씀’, 복음, 진리 등을 상징하고 ‘씨를 뿌리는 사람’은 예수님 혹은 당신의 말씀을 전하는 당신의 제자들을 가리킵니다. 그리고 길가, 돌밭, 가시덤불, 좋은 땅 등은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들이는 우리와 같은 인간들의 마음의 상태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말씀의 씨앗이 길바닥에 떨어졌다고 합니다. 길바닥에 떨어졌다는 것은 말씀을 듣는 사람이 말씀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는 것을 말합니다.  부와 권력 명예 와 쾌락을 추구하는 세상적인 욕심이  하느님의 방식인 포기와  자비와 용서, 나눔의 삶의 방식이 전혀 스며들지 못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하느님의 말씀을 들었다 해도 세상의 생활방식과 가치관에 사로잡혀 그 말씀을 무시하고 “신앙이 밥 먹여 주느냐?”라고 비아냥거리는 사람입니다.

말씀의 씨앗이 돌밭에 떨어졌다과 합니다. 돌밭은 토양이 깊지 않아서 씨가 발아를 했다가도  뿌리가 없어 햇볕이 뜨거우면 곧 말라죽는 밭입니다. 이러한 마음의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복음을 듣고 기쁘게 받아들이기는 하지만 그 복음으로 인하여 어려움이나 박해에 직면하게될 때에 믿음의 뿌리가 없으므로 쉽게 믿음을 포기하는 마음의 상태를 지니고 있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피상적인 신앙생활을 하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처음에는 말씀을 기쁜 마음으로 받아들였지만 말씀 안에 꾸준히 머무르면서 그 말씀의 삶을 살지 못하기 때문에, 시련이 오면 말씀에 의지하기보다 세상적인 다른 것에 의지하는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면, 사주팔자를 따진다든지 점을 보는 것등을 말합니다.

말씀의 씨앗이 가시덤불에 떨어졌다는 것은 말씀을 듣고  감동도 하고 그렇게 살고 싶다는 열망은 있는데, 이러한 삶을 살아감으로 인해서 생기는 고통이나 십자가는 지고 싶지 않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가시덤불은 걱정과 욕심, 상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경우에 해당하는 사람은 세상걱정과 재물의 유혹과 그밖의 여러 가지 욕심에 가득 차 있는 사람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가시덤불이 말씀을 따르려는 생각을 없애 버립니다. 하느님의 말씀도 자기 욕심을 채우는데 방해가 되지 않을 때만 좋은 것으로 인정할 뿐입니다. 말씀을 받아들일 수 없을 정도로 깊은 상처를 지니고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말씀의 씨앗이 좋은 땅에 뿌려졌다는 것은 말씀을 듣고  받아들이고 그 말씀대로 살아가는 사람을 말합니다. 열린 마음으로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들여서 ‘서른 배, 예순 배, 백 배’의 열매를 맺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그들은 하느님 말씀을 늘 최우선에 두고, 삶의 기반과 지침으로 삼고 사는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믿음, 희망, 사랑의 열매를 맺음으로써 등경위의 등불처럼 세상을 환히 비추게 됩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모든 삶의 기준으로 삼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그 말씀을 더욱 더 깊이 깨닫게 됩니다. 깨닫게 되면 풍성한 열매를 맺어 자신과 다른 이에게 유익을 줍니다.

예수님의 비유의 말씀을 잘 알아듣기 위해서 우리의 믿음은 필연적입니다. 우리가 믿음으로 듣고 깨닫는 경우에는 그 비유들의 심오함과 의미들을 잘 이해할 수 있지만 마음을 닫고 자기 중심적으로 살아가거나  자신의 이성으로 만 모든 것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에게는 참으로 어렵고 참된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가  주님의 말씀을 믿음으로 받아들이고 이러한 믿음의 토대 위에서 이해하고 이를 실천한다면 우리 모두는 백배 천배의 열매를 맺는 좋은 땅이 될 것입니다.

Total 417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27
희망의 시작 -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사는 삶(마태 14, 22-33)
kchung6767 | 2017.08.12 | Votes 3 | Views 1243
kchung6767 2017.08.12 3 1243
26
희망의 시작 - 예수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마태 17, 1-9)
kchung6767 | 2017.08.05 | Votes 2 | Views 1176
kchung6767 2017.08.05 2 1176
25
희망의 시작 - 너에게 무엇을 해 주기를 원하느냐?(마태 13, 44 - 46)
kchung6767 | 2017.07.29 | Votes 0 | Views 944
kchung6767 2017.07.29 0 944
24
희망의 시작 - 하느님의 판단에 모든 것을 맡기는 삶(마태 13, 24-30)
kchung6767 | 2017.07.21 | Votes 3 | Views 2365
kchung6767 2017.07.21 3 2365
23
희망의 시작 - 씨뿌리는 사람의 비유(마태 13, 1-9)
kchung6767 | 2017.07.14 | Votes 1 | Views 2901
kchung6767 2017.07.14 1 2901
22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대축일 미사 강론 - 오디오 파일
Stella | 2017.07.10 | Votes -3 | Views 3181
Stella 2017.07.10 -3 3181
21
연중 제12주일 미사 강론 - 오디오 파일
Stella | 2017.07.10 | Votes -3 | Views 3156
Stella 2017.07.10 -3 3156
20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미사 강론 - 오디오 파일
Stella | 2017.07.10 | Votes -4 | Views 3005
Stella 2017.07.10 -4 3005
19
삼위일체 대축일 미사 강론 - 오디오 파일
Stella | 2017.07.10 | Votes -1 | Views 2940
Stella 2017.07.10 -1 2940
18
성령 강림 대축일 미사 강론 - 오디오 파일
Stella | 2017.07.10 | Votes -3 | Views 2661
Stella 2017.07.10 -3 2661

Enquire now

Give us a call or fill in the form below and we will contact you. We endeavor to answer all inquiries within 24 hours on business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