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시작 - 두 사람의 대조적인 기도(루카 18,9-14) - 2847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2847
2023년 3월 18일 토요일
두 사람의 대조적인 기도(루카 18,9-14)
“누구든지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루카 18, 14)
예수님께서는 스스로 의롭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비유를 들어서 말씀하십니다. 이러한 비유를 들어서 예수님께서 이들에게 말씀하시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생각하다가 1절에서 이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있는 청중들에게 관심을 둡니다. 이들은 ‘스스로 의롭다고 자신하며 다른 사람들을 업신여기는 사람’ 들입니다.
스스로 의롭다고 자신하는 사람은 어떠한 사람입니까? 교만한 사람의 전형입니다. 이들의 특징은 다른 사람들을 업신여기는 사람입니다.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사람입니다. 자신의 들보는 보이지 않고 상대의 들보는 참으로 잘 보는 사람입니다.
오늘 본문의 예수님의 비유를 보면 이러한 사람은 기도가 필요하지 않는 사람이지만 기도를 하러 옵니다. 그런데 이 사람이 성전에 기도하기 위해서 오는 이유는 본문을 보면, 자신을 드러내고 과시하기 위해서 입니다. 반면에 이사람과는 대조적으로 스스로 죄인이라고 고백하고 주님 앞에서 회개의 눈물을 흘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사람은 자신이 죄인 임을 알기에 성전에서 앞자리에 나아가지도 못하고 제일 뒷자리에서 눈물로 자신의 부족함을 고백하면서 주님께 자비를 청합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이 두 사람 가운데 의롭다고 인정을 받고 돌아간 사람은 바로 자신이 스스로 죄인 임을 고백하고 돌아간 사람라고 말입니다.
교만한 사람과 겸손한 사람의 차이는 바로 ‘고백’과 ‘고발’의 차이에 있습니다. ‘고백하는 사람’은 사랑의 언어를 사용하지만 ‘고발’하는 사람은 증오의 언어를 사용합니다. ‘고백하는 사람’은 ‘긍정’의 언어를 사용하지만 ‘고발’하는 사람은 언제나 부정과 불평의 언어를 사용합니다. 고백하는 사람은 생명의 언어와 부활의 언어를 사용하지만 고발하는 사람은 죽음의 언어를 사용합니다. 나는, 우리는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갑니까? 어떠한 언어를 사용하고 살아갑니까?
나에게는 어떠한 교만의 모습이 있는지 혹은 어떠한 겸손의 모습이 있는지. 아닌 것은 아니게 맞는 것은 더욱 발전시키게 해 달라고 주님께 청합니다.
되돌아 보면, 참으로 많은 것을 소유하기 위해서 살아왔습니다. 그러면서 항상 더 가지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포기와 나눔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 그렇게 다짐을 하면서도 놓는 것이 그렇게 아까웠습니다. 지금 이 순간 내가 어떻게 될지도 모르는데 영원을 살것처럼 그렇게 살고 있는 자신의 우둔함을 발견합니다.
사랑은 그 대상을 위해서 모든 것을 내놓게 만듭니다. 그러면서도 기뻐하게 만듭니다. 사랑의 마법입니다. 신비입니다. 기도는 하느님을 사랑하게 합니다. 하느님을 사랑하면 기도하게 됩니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조건이 있습니다. 자신이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확신을 먼저 가져야 합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은 이러한 확신을 먼저 가지기 보다는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하셨던 것처럼 우리가 먼저 하느님께 다가가는 존재입니다. 그래서 축복도 더 크다는 확신을 가집니다.
지금 이 순간 하느님을 사랑하는 행위인 기도를 해 봅니다. 사랑의 행위에 한계가 있고 격식이 있는지요? 그렇지는 않을 것입니다. 사랑은 사랑하는 상대를 먼저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사랑의 행위의 격식이라 함은 ‘더 상대를 행복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기도를 정의해 봅니다. ‘하느님을 더 행복하고 기쁘게 하는 행위’, ‘하느님께 자신의 부족함을 고백하는 행위’는 모두 기도입니다. 따라서 기도를 하다보면 내가 먼저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됩니다. 사랑을 하다보면. 일방적으로 주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실을 그렇지 않습니다. 주는 것보다 더 많이 받고 있슴을 느낍니다. 내가 사랑하는 것보다 상대는 나를 더 많이 사랑한다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사랑하기 때문에 겸손해집니다. 사랑은 겸손을 배우게 합니다.
더 많이 사랑하며 더 큰 행복을 체험하는 시기가 바로 사순시기입니다. 그래서 이 시기는 축복의 시기입니다. 이 축복이 우리를 축복의 완성인 부활의 영광에로 나아가게 할 것입니다.
Number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2346 |
New 희망의 시작 - 하느님의 희망이 되는 삶(마르 12, 1-12) - 2913
신부님
|
04:44
|
Votes 0
|
Views 43
|
신부님 | 04:44 | 0 | 43 |
2345 |
New 희망의 시작 -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마르 11, 27-33) - 2912
신부님
|
2023.06.01
|
Votes 5
|
Views 315
|
신부님 | 2023.06.01 | 5 | 315 |
2344 |
New 희망의 시작 - 과거를 끊고 미래를 보게하는 믿음 (마르 11,11-25) - 2911
신부님
|
2023.05.31
|
Votes 4
|
Views 412
|
신부님 | 2023.05.31 | 4 | 412 |
2343 |
New 희망의 시작 - 성 유스티노 순교자 기념일(마르 10, 46-52) - 2010
신부님
|
2023.05.30
|
Votes 6
|
Views 396
|
신부님 | 2023.05.30 | 6 | 396 |
2342 |
New 희망의 시작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방문 축일(루카 1, 39-45)- 2909
신부님
|
2023.05.29
|
Votes 8
|
Views 375
|
신부님 | 2023.05.29 | 8 | 375 |
2341 |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세례의 참의미(마르 10,28-31) - 2908
신부님
|
2023.05.28
|
Votes 5
|
Views 488
|
신부님 | 2023.05.28 | 5 | 488 |
2340 |
희망의 시작 -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요한 12, 24- 26) -2907
신부님
|
2023.05.27
|
Votes 6
|
Views 522
|
신부님 | 2023.05.27 | 6 | 522 |
2339 |
희망의 시작 - 너는 나를 따라라(요한 21, 20-25)- 2906
신부님
|
2023.05.25
|
Votes 3
|
Views 369
|
신부님 | 2023.05.25 | 3 | 369 |
2338 |
희망의 시작 - 성 필립보 네리 사제 기념일(요한 21, 15-19) - 2905
신부님
|
2023.05.24
|
Votes 6
|
Views 375
|
신부님 | 2023.05.24 | 6 | 375 |
2337 |
희망의 시작 - 믿는 우리를 위해서 기도하시는 예수님(요한 17, 20 - 26) - 2904
신부님
|
2023.05.23
|
Votes 5
|
Views 515
|
신부님 | 2023.05.23 | 5 | 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