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말씀 묵상

희망의 시작 -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루카 2, 33-35 /요한 19,25-27) - 3003

Author
신부님
Date
2023-09-13 16:39
Views
500

이른 아침에 읽는 말씀 - 3003

2023년 9월 15일 금요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루카 2, 33-35 /요한 19,25-27)

 “보십시오, 이 아기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사람을 쓰러지게도 하고 일어나게도 하며, 또 반대를 받는 표징이 되도록 정해졌습니다. 그리하여 당신의 영혼이 칼에 꿰찔리는 가운데,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루카 2, 34-35)

오늘은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입니다.  이날은 성모님께서 당신의 아들이 자가의 길을 가는 함께가시면서 가지셨던 그 아픔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어릴 때부터 저의 집안은 가톨릭 집안이었습니다. 부모님께서는 많은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신앙의 끈은 놓지 않고 지내셨던 분이십니다. 이 분들의 신앙이 저의 마음 깊은 곳에서 소리없이 자리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그렇게도 하기 싫었던 복사 및 주일학교와 주일미사 참례… 저의 일생은 거의 신앙과 연관을 맺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랬기에 성모님은 저에게는 특별한 존재로 서서히 자리매김을 하고 계셨나 봅니다. 그렇게 묵주기도를 바치기를 싫어했었던 저인데 조그마한 걱정거리나 불안이 생기면 가장 먼저 바쳤던 기도가 묵주기도였으니까요. 급기야는 사제가 되면서 사제로서의 삶의 성구로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루카 1:38).“는 말씀을 선택하였습니다.

오늘 저에게 다가오시는 고통의 성모님께서는 제가 힘들고 어려운 삶을 살게 될 때 함께 힘들어 하시면서 힘이 되어 주시고 이 어려운 시기를 잘 이겨나갈 수 있도록 하느님께 전구해 주시는 분이십니다.

오늘복음의 전 부분에서는 아기 예수님께서 당시의 율법에 따라서 주님께 봉헌되신 것을 알려 줍니다. 그리고 주님께 봉헌된 예수님의 삶이 어떠할 것인가에 대해서 시메온이라는 사람과 여 예언자인 한나라는 사람을 통해서 알려집니다.

복음서는 시메온을 독실하고 의로운 사람이라고 소개합니다. 이 사람은 이스라엘의 위로의 때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이 사람은 성령께서  자신이 그리스도를 뵙기 전에는 죽지 않을 것이라고 알려주었다고 합니다.

또 한 사람은  예언자인 한나라는 사람입니다. 나이가 매우 많은 여자인데 결혼하여 7년을 살다가 남편이 죽고 여든네 살이 되도록 과부로 지냈다고 합니다. 그녀는 말없이 단식하고 기도하며 밤낮으로 하느님을 섬겼다고 합니다.

이 두사람에 대한 소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들은 주님 안에서 자신을 봉헌하며 살아갔던 사람들 입니다. 이러한 봉헌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기에 예수님을 알아 볼 수가 있었습니다.

어머니 품에 안겨 있는 갓 태어난 아기 예수님을 보고서   “보십시오, 이 아기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사람을 쓰러지게도 하고 일어나게도 하며, 또 반대를 받는 표징이 되도록 정해졌습니다. 그리하여 당신의 영혼이 칼에 꿰찔리는 가운데,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 하고 시메온은 예언을 합니다. 주님께 봉헌되신 예수님의 삶이 어떠하고 또 그의 어머니는 어떠한 아픔과 고통을 갖게 될 것인가에 대해서 알려 주는 것입니다.

봉헌된 예수님의 삶의 절정의 순간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신 바로 그 순간일 것입니다. 성모님의 고통도 절정에 이르는 순간입니다. 이 순간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께서 당신의 십자가 옆에 서 계시는 당신의 어머니께 “여인이시여, 이 사람이 어머니의 아들입니다.” 이어서 그 제자에게 “이분이 네 어머니시다.” 하고 말씀하셨습니다.(요한 19, 26-27)

아들과 어머니의 사랑의 대화입니다. 어머니를 홀로 두고 떠나시는 예수님께서 당신의 어머니께 남기시는 유언처럼 들리는 말씀입니다.

예수님의 말씀은 ‘우리는 바로 성모님의 아들이고 성모님께서는 우리의 어머니시라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어머니'는 우리에게  어떠한 어떠한 존재입니까? 육적인 차원을 넘어서 영적으로 우리의 어머니 되시는  성모님을  잘 모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느님의 뜻에 순명하며 인간적인 모든 힘들고 어려웠던 것들을 주님께 내려 놓았던 성모님의 삶입니다. 이 성모님의 삶을 잘 실천하는 것이 바로 성모님을 우리의 어머니이게 하는 삶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고통의 성모님의 기념일을 지내면서 우리는 우리가 갖고 있는 일반적인 봉헌에 대한 개념을 바꾸어야 할 것입니다.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기 위해서 자신의 전 삶을 내어 놓는 삶, 즉 내가 주인이 되는 삶이 아닌 하느님께서 나의 주인이 되는 삶에로 자신을 내어 놓음으로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이 봉헌의 절정이 바로 십자가이며 이 봉헌의 열매가 바로 부활인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가시는 수난의 길을 동행하시면서 성모님께서 얼마나 힘들어 하셨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을 봉헌했기 때문에 자신을 보지 않고 하느님의 뜻을 쫓았기에 참을 수 있었던 고통의 순간들 입니다.

사랑이신 하느님 아버지,  성모님께서 십자가에 높이 달리신 아드님 곁에 서서 십자가의 고통을 함께 나누게 하셨으니 저희도 그리스도와 함께 수난하고 그리스도의 부활에 참여하는 삶을 살수 있게 해 주십시오.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Total 2,444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2444
New 희망의 시작 -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 기념일(루카 8, 4-15) - 3010
신부님 | 05:43 | Votes 2 | Views 65
신부님 05:43 2 65
2443
New 희망의 시작 - 사랑의 관점과 이해의 관점(루카 8, 1-3) - 3009
신부님 | 2023.09.20 | Votes 3 | Views 197
신부님 2023.09.20 3 197
2442
New 희망의 시작 - 성 마태오 사도 복음 사가 축일에(마태 9,9-13) - 3008
신부님 | 2023.09.19 | Votes 8 | Views 368
신부님 2023.09.19 8 368
2441
New 희망의 시작 - 불신의 삶은 청개구리 삶(루카 7,31-35) - 3007
신부님 | 2023.09.18 | Votes 6 | Views 433
신부님 2023.09.18 6 433
2440
New 희망의 시작 - 예수님의 사랑의 두 방식(루카 7,11-17) - 3006
신부님 | 2023.09.17 | Votes 6 | Views 418
신부님 2023.09.17 6 418
2439
희망의 시작 - “예수님께서 감탄하신 백인대장의 믿음”(루카 7, 1-10) - 3005
신부님 | 2023.09.16 | Votes 4 | Views 481
신부님 2023.09.16 4 481
2438
희망의 시작 - 성 고르넬리오 교황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순교자 기념일(루카 6, 43-49) - 3004
신부님 | 2023.09.14 | Votes 4 | Views 462
신부님 2023.09.14 4 462
2437
희망의 시작 -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루카 2, 33-35 /요한 19,25-27) - 3003
신부님 | 2023.09.13 | Votes 6 | Views 500
신부님 2023.09.13 6 500
2436
희망의 시작 - 십자가 현양축일에 (요한 3, 13-17) - 3002
신부님 | 2023.09.12 | Votes 3 | Views 479
신부님 2023.09.12 3 479
2435
희망의 시작 -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 기념일(루카 6, 20-26) - 3001
신부님 | 2023.09.11 | Votes 3 | Views 500
신부님 2023.09.11 3 500

Enquire now

Give us a call or fill in the form below and we will contact you. We endeavor to answer all inquiries within 24 hours on business days.